인신매매 와 디지털 성매매
- 작성일2021/04/02 16:32
- 조회 641
인신매매에는 노동 착취뿐 아니라 음란물 제작과 유포 등을 포함한 성 착취와 성매매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으로 활동하는 영영이 넓어지면서, 아동 및 청소년들이 온라인을 통한 성매매 등 디지털 범죄에 노출될 확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 구세군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인신매매 방지 담당관들이 모인 회의에서 온라인을 통한 성 착취, 성매매에 대한 수요가 국가 경제 수준에 상관없이 놀랍게 증가하고 있고,
10세이하에서도 피해자들이 발생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이에 구세군은 국제적으로 9월 마지막 주일을 인신매매 없는 사회와 피해자들을 위한 기도의 날로 정하고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캠페인과 예배로 맞서고 있습니다.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과 게임 콘솔, 휴대폰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비대면 수업이 활성화되고, 온라인으로 출석하면서, 범죄자들은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 단순한 흥미나 경제적 이익 등을
미끼 삼아 우연하 접촉을 시도하고 신뢰를 쌓게 합니다.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범죄는 가해자들이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접근하는 경우가 많으며, 피해자들을 쉽게 그루밍 당하거나, 범죄를 만나도록 강요받습니다. 가해자는 성인뿐 아니라 또래 집단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인신매매와 디지털 성범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01아동·아동·청소년이 인신매매/착취 대상이 될 수 있는 징후
- 학대 행위를 저지르는 보호자를 둔 아동·아동·청소년
- 돈을 받기 위해 교육을 받는 아동·청소년
- 가족들을 돌봐야해서 학교에 출석하지 못하는 아동·아동·청소년
- 부모, 보호자가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청소년
02 아동·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인신매매/착취의 징후
- 온라인에서 만난 새로운 친구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
- 새 친구로부터 전화나 메시지를 계속해서 받는 경우
- 의기소침해지고 비밀이 생긴 경우
- 특정인에 의해 감시를 받는 아동·아동·청소년
- 화를 잘 내거나 노라는 증상을 보이는 아동·아동·청소년
- 헝클어진 차림새와 옷차림이 바뀌지 않는 아동
- 오랜 시간 통신기기로부터 떨어져 있어 걱정을 끼치는 경우
- 온라인으로 받은 선물과 돈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
위에서 살펴 본대로 아동, 청소년들이 가출과 성매매라고 불리는 상황에 내몰리는 원인 역시 가정불화와 가정폭력, 성폭력 경험, 따돌림과 어려운 집안 형편 등으로 나타납니다.
단순히 내 자녀를 교육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뿐 아니라, 사회에서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끼고 있을 이웃, 위기 청소년과 위기가정의 아동들, 직장의 동료들을 돌아보는 데서부터
이러한 범죄들이 예방될 것입니다.
인신매매와 온라인상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핸드폰과 인터넷 사용의 부작용, 범죄에 이용당한 피해자가 느기게 되는 트라우마 등에 대한 공교육화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아동·청소년의 인신매매와 디지털 성매매 예방은 우리 가까이에 있는 이웃들에게 배려깊은 구체적 관심과 사랑을 갖는데서 시작될 것입니다.
참고자료:
1)www.thonkyouknow.co.uk 또는 www.thinkuknow.org.au
2)2020국제본영 아동보호 지침서 중에서
3) COVID-19& Modern Slavery and Human Trafficking(ISJC)
4) 국가인권위원회 보도자료 중 아동청소년 성매매 환경 및 인권실태와 개선방안 토로회
-
첨부1 2020인신매매반대기도주일포스터.jpg (용량 : 1.2M / 다운로드수 : 175)